칼리리눅스에서 도커를 사용할 일이 생겨
설치를 진행해보기로 했다.
칼리리눅스 도커 설치
1) sudo apt-get update

2) sudo apt install docker.io

3) sudo apt install docker-compose

4) 설치확인, sudo docker

도커 명령어가 실행가능한지 확인해본다.
vulhub 사용을 위한 세팅
git clone

vulhub의 깃 코드 링크를 복사한다.

칼리리눅스에서
sudo git clone 명령어를 사용한다.
명령어 뒤에 복사한 링크를 붙여서
칼리리눅스에 저장해준다.

잘 clone 되었다.

vulhub 파일로 들어가 확인해본다.
원하는 취약점을 골라서 확인하면된다.
이중 pgadmin을 확인해보고자 한다.

pgadmin의 docker-compose.yml을 보면
구성되어있는 image를 확인할 수 있다.
이미지 빌드

sudo docker-compose build를 하면 이미지가 만들어진다.
이미지를 생성할 폴더의 경로에서 해줘야한다.
도커 실행

sudo docker-compose up -d을 하면 도커환경이 구성된다.

docker ps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면
로컬 5050포트로 실행되고 있음이 확인된다.

실행되는 로컬호스트로 접속해본다.

환경이 잘 구성되어 실행된 것을 알 수 있다.
이제 vulhub에서 원하는 취약점 환경을 구성하고,
vulhub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통해 익스플로잇 과정을 진행해보면된다.

다 사용후에는
sudo docker-compose down명령어를 통해
정지와 삭제를 동시에 해준다.
칼리리눅스에서 도커를 사용할 일이 생겨
설치를 진행해보기로 했다.
칼리리눅스 도커 설치
1) sudo apt-get update

2) sudo apt install docker.io

3) sudo apt install docker-compose

4) 설치확인, sudo docker

도커 명령어가 실행가능한지 확인해본다.
vulhub 사용을 위한 세팅
git clone

vulhub의 깃 코드 링크를 복사한다.

칼리리눅스에서
sudo git clone 명령어를 사용한다.
명령어 뒤에 복사한 링크를 붙여서
칼리리눅스에 저장해준다.

잘 clone 되었다.

vulhub 파일로 들어가 확인해본다.
원하는 취약점을 골라서 확인하면된다.
이중 pgadmin을 확인해보고자 한다.

pgadmin의 docker-compose.yml을 보면
구성되어있는 image를 확인할 수 있다.
이미지 빌드

sudo docker-compose build를 하면 이미지가 만들어진다.
이미지를 생성할 폴더의 경로에서 해줘야한다.
도커 실행

sudo docker-compose up -d을 하면 도커환경이 구성된다.

docker ps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면
로컬 5050포트로 실행되고 있음이 확인된다.

실행되는 로컬호스트로 접속해본다.

환경이 잘 구성되어 실행된 것을 알 수 있다.
이제 vulhub에서 원하는 취약점 환경을 구성하고,
vulhub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통해 익스플로잇 과정을 진행해보면된다.

다 사용후에는
sudo docker-compose down명령어를 통해
정지와 삭제를 동시에 해준다.